연금전환형 보험을 소개합니다.
인슈딜 ∙ 2025.04.22
인슈딜 플랫폼에서 거래되는 보험은 '연금보험'과 '연금전환형보험'입니다.
이번에 '연금전환형보험'이 추가되어서 소개해드립니다.

연금보험은 저축성보험으로 일반적인 연금보험, 변액연금보험을 말합니다. 연금전환형보험은 실제 상품은 저해지 구조의 종신보험으로, 특정 시점에 보장성보험에서 저축성보험으로 상품 구조를 전환해 연금으로 수령하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연금전환형'이라고 표현하고 있습니다. 연금전환은 연금개시를 의미하기 때문에 전환과 동시에 적립금(해약환급금)을 토대로 연금을 수령하게 됩니다.
'연금전환형' 보험을 매입할 때 두가지만 확인하시면 됩니다.
1. 수익률 (특정시점)
2. 연금액 (특정시점 연금전환 시)

일반적인 연금보험의 경우 공시이율에 따른 추세적 적립금 추이를 시뮬레이션하지만, 저해지 종신보험의 경우 아래의 그림과 같이 특정 시점에 일정한 환급률을 담보합니다. 수익률은 매입 시점의 환급률과 특정 시점의 환급률 차이를 뜻합니다.

특정시점 이후에는 적립률 상승이 크지 않기 때문에 정해진 시점에 연금 전환을 통해 상품 성격을 저축성으로 바꿔 연금 형식으로 수령하는 것을 권고드리며, 이 내용을 매매 계약서 상에 기입해 놓았습니다. 물론, 연금전환 없이 해약을 통해 일시금으로 인출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연금보험 상품과 마찬가지로 매입은 계약자 변경을 통해 보험의 계약자를 투자자로 변경하는 것이고, 변경된 계약자(투자자)가 수익자를 지정하게 됩니다.
자주 묻는 질문
"연금전환 이전에(해약 전) 피보험자 사망 시 보험금은 어떻게 되나요?"
먼저, 플랫폼을 통한 보험의 매매는 개인 연금재원의 확보를 근간으로 하고 있습니다. 즉, 매매를 통한 사망보험금 수령에 목적을 두지 않고, 거래가 의도치 않은 방향으로 남용되지 않도록 다양한 각도에서 장치를 마련하고 있습니다.
수익자는 사망 수익자와 만기 수익자로 나뉩니다. 계약자 변경 시 수익자도 다른 사람으로 지정하는데, 계악자의 권한에 따라 지분을 나눠 여러 명을 등재할 수 있습니다. 이에따라 사망 수익자의 90%를 변경계약자가 희망하는 수익자로, 10%를 기존 계약자의 상속인으로 지정하게 됩니다. (만기수익자는 변경계약자가 희망하는 사람으로 지정)
연금전환 이전(해약전) 피보험자 사망 시 수익자 지정에 따라 10%의 수익자 지분을 갖고 있는 상속인이 사망보험금 청구를 하게 되며, 보험금은 수익자 지분에 따라 수령하게 됩니다. 이 같은 내용이 매매계약서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연금으로 전환하지 않고, 해지하는 게 낫지 않나요?"
기존 연금전환에 다소 부정적인 시각이 있었던 것은 종신보험의 특성상 환급률이 낮고, 연금전환은 전환 시점의 환급금을 확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연금을 수령하는 것이기 때문에 결국 낮은 연금액을 수령한다는 의미로 해석되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인슈딜의 연금전환형 상품은 높은 환급률을 담보하고 있기 때문에 위와는 다릅니다. 계약자의 금융 주도권에 따라 일시금으로 유동화하는 것도 좋지만, 장기적 관점에서 연금재원으로 활용하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연금전환 후 바로 연금을 개시해야 하나요?"
네, 맞습니다. 연금전환은 연금개시를 의미합니다. 연금전환 후 희망하는 연금개시의 시점을 선택할 수 없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상품 약관에 따라 개시시점을 선택할 수 있는 상품이 있을 수 있으니 약관을 확인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