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슈딜 비과세 계산기 200% 활용
인슈딜 ∙ 2024.10.22

연금보험의 최대 강점 중 하나는 단연 비과세입니다. 이 비과세를 가볍게 치부할 사안이 아닌 이유는 개별적인 이자소득세 15.4%가 과세되지 않는 것을 넘어 금융소득종합과세와 건강보험료 미적용까지 비과세가 포함하는 범주가 넓기 때문입니다.
연금보험의 비과세 요건 강화
연금보험의 비과세 요건은 3번의 강화되는 과정을 거쳤습니다.
1. 2013.02.14까지의 계약
- 계약자 변경 후에도 비과세 유지
- 월 적립금 무제한 비과세
- 일시납 무제한 비과세
2. 2013.02.15 ~ 2017.04.01까지의 계약
- 계약자 변경 후 다시 10년 후 비과세
- 월 적립금 무제한 비과세
- 일시납 최대 2억원 비과세
3. 2017.04.02~현재까지의 계약
- 계약자 변경 후 다시 10년 후 비과세
- 월 적립금 150만원 비과세 (연 1,800만원)
- 일시납 최대 1억원 비과세
결론적으로 보험을 매입하는 관점에서는 1번 조건을 갖춘 보험이 가장 매력적일 수 있지만, 워낙 과거의 상품이기 때문에 매우 희소합니다. 보통 2번, 3번에 해당하는 보험이 대개의 매물의 조건입니다. 공통적인 것은 매입 후 10년을 기다려야 비과세 조건을 충족할 수 있습니다.
연금보험이 여러 개인 경우에는?
문제는 1번~3번까지의 개별적인 비과세 조건들에 따라 이미 내가 보유하고 있는 연금보험이 있거나, 2개 이상의 연금보험을 매입할 경우에 요건 강화에 따른 비과세 총족 요건을 스스로 판단하기 다소 곤혹스러울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20년에 월납입액 50만원에 가입한 연금보험이 있는 분께서 2015년에 계약한 월납입액 50만원의 연금보험을 매입한다면 이 두 개의 연금보험은 모두 비과세를 받을 수 있을까요? 혹은 2020년 월납입액 50만원에 가입한 연금보험이 있는 분께서 2021년 월납입액 150만원의 연금보험을 매입한다면 이 두 개의 연금보험은 모두 비과세를 받을 수 있을까요? 등등 다소 복잡한 판단과 계산을 해야 합니다.
저희가 비과세 계산기를 제공해 드리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내가 이미 가입한 보험이 있는데 추가로 매입해도 비과세 적용되는지 비과세 계산기를 통해 쉽게 확인시켜 드립니다.

1번 경로로 비과세 계산기를 선택하시면, 조건을 입력해 해당 보험들이 비과세인지 아닌지를 확인시켜 드립니다. 여러 개의 보험을 추가해서 입력할 수 있고, 이를 합산해서 비과세 여부를 보여 드립니다. 2번 경로로 비과세 계산기를 선택하시면, 보고 계신 보험이 입력된 상태에서 보험 추가하기를 통해 내가 보유 중인 보험을 입력하실 수 있습니다.

비과세 계산기를 통해 내가 매입할 보험이 비과세인지, 내가 이미 보유한 보험은 비과세인지, 내가 매입할 보험과 내가 이미 보유한 보험이 모두 비과세인지를 계약일과 월 납입액 입력만으로 편리하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복잡한 연금보험 비과세 적용 여부, 고민하지 마시고 인슈딜 비과세 계산기로 편리하게 알아 보세요!
추천 포스트💙
보험이 죽은 자산이라고? 당신만 몰랐던 보험 투자 시장
당신만 몰랐던 보험 투자 시장 “보험? 납입만 오래 하고, 해약하면 손해 보는 거 아닌가요?” “죽을 때까지 가져가야 하는 거 아닌가요?” “투자요? 보험으로요?” 아직도 보험을 그렇게 생각하고 있다면, 당신만 이 시장을 몰랐던 것일지도 모릅니다. 지금, 보험은 ‘죽은 자산’이 아니라 되살아난 금융상품으로 인슈딜 플랫폼을 통해 주목받고 있습니다. "보험이 투자 수단이 될 수 있다고요?" 그렇습니다. 특히 단기납 저해지 종신보험처럼 구조적으로 일정 시점 이후 환급금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상품은, 제3자에게 ‘고수익 채권’처럼 매력적인 투자처가 될 수 있습니다. 이런 보험을 가진 사람은 자금이 필요해 해약을 고민하고, 투자자는 그 보험의 미래 가치를 평가해 일정 금액에 인수합니다. 예시) 보험 계약자 A: 5년 전 1억원 납입 완료, 현재 해약환급금 7,000만원 투자자 B: 7,500만원에 인수 3년 후 환급금: 9,500만원 → 연 수익률 약 8.2% 보험을
인슈딜 ∙ 2025.10.29
보험 계약에도 거래소가 필요하다
숨겨진 자산을 유통시켜야 ‘시장’이 됩니다 부동산에는 등기부와 실거래가가 있습니다. 주식에는 증권거래소가 있고, 매일 시세가 투명하게 공개됩니다. 중고차도 이제는 진단서와 시세가 있어야 거래가 이뤄지죠. 그런데 보험은 어떨까요? * 누가 얼마짜리 보험을 갖고 있는지 * 지금 해지하면 얼마 받는지 * 이 계약을 누가 사려는지 아무도 모릅니다. 그저 ‘해약’이라는 일방적인 선택지만 존재할 뿐입니다. 이제는 바뀌어야 합니다. 보험 계약에도 거래소가 필요합니다. 왜 보험 거래소가 필요한가? 보험 계약은 오래 묻어두는 자산이자 종종 해지라는 손실로 끝나는 자산입니다. 하지만 그 안에는 * 완납 후 고수익 구간에 진입한 계약 * 저해지 구조로 향후 환급금이 급증하는 계약 * 정기납 중 중간 매입해도 매력적인 계약 이 숨어 있습니다. 즉, 누군가에게는 손해 보는 보험이 다른 누군가에게는 수익 기회가 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 이 보험들을 객관
인슈딜 ∙ 2025.10.13
자산가만 아는 보험 이차시장, 지금이 초기 진입 타이밍
지금이 초기 진입 타이밍입니다 "주식은 늦었고, 부동산은 부담되고, 예금은 수익이 안 나고…" 자산을 굴리는데 갈 곳이 없다고 느껴지시나요? 그렇다면 지금, 조용히 떠오르는 '보험 이차시장'을 주목해야 할 때입니다. 아직 대중은 잘 모르고, 소수의 투자자들만 움직이고 있는 이 시장, 지금이 바로 초기 진입 타이밍입니다. 보험 이차시장? 그게 뭔데? ‘이차시장(Secondary Market)’이란 기존에 발행된 자산을 제3자가 사고 파는 시장입니다. 주식도 부동산도, 심지어 미술품도 이차시장이 있습니다. 그리고 이제, 보험에도 생겼습니다. * 누군가가 납입을 마친 보험 * 특정 시점 이후 환급금이 급격히 증가하는 구조의 보험 * 중간에 해약하면 손해지만, 들고 가면 수익이 나는 보험 이런 보험을 해약 대신, 투자자에게 프리미엄을 받고 매각하는 구조가 바로 보험 이차시장입니다. 왜 지금 들어가야 하나? ① 초기 시장 = 가격이 아직 싸다 현재 이 시장은 표
인슈딜 ∙ 2025.09.26
매매 거래 시 피보험자 이슈
계약자 : 보험의 모든 권한과 의무를 가진 주인 피보험자 : 보험의 대상이 되는 자 수익자 : 보험금을 수령하는 자 먼저 '매매'란 무엇인가 짚어볼게요. 인슈딜을 통해 이루어지는 보험증권 '매매'는 보험 계약의 '양도'로 실무적으로는 '계약자 변경'을 의미합니다. 변경된 새 계약자(아래부터 매수인)는 보험료 납입 의무, 보험을 해지할 수 있는 권한, 연금을 개시할 수 있는 권한 등 보험계약의 모든 권한과 의무를 갖습니다. 보험금을 청구하고 수령하는 사람인 수익자도 지정할 수 있는데요, 일반적으로 피보험자는 변경할 수 없으며 변경 사항에 대해 피보험자 동의가 필요합니다. 보험증권 매매 거래 시 이해관계자와 관련하여 위 사항 외에 꼭 알아두어야 할 점은 무엇이 있을까요? 매입 후 피보험자 이슈를 연금을 개시하기 전과 후로 나눠 설명드리겠습니다. 1. 연금 개시 전 피보험자 사망 시 * 투자금 회수 방식: 연금으로 전환하는 것이 불가할 수 있으며, 사망 시점의 해약환급금을 지
연금·보험상식 ∙ 2025.09.11